기사제목 중국의 새벽 닭 우는 소리가 들리는 섬 , 가거도 (1)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중국의 새벽 닭 우는 소리가 들리는 섬 , 가거도 (1)

기사입력 2018.09.06 09:52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특집-등대여행] 중국의 새벽 닭 우는 소리가 들리는 섬 , 가거도 (1)
가거도 노을-horz.jpg▲ 가거도 노을풍경과 가거도 1구 이정표 (사진=주윤기자)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인 해양국가이다 . 3,677 개의 섬을 거느린 반도국가이기도 하다 . 이 섬들에는 바다를 항해하는 선박과 어부들의 안전을 위해 유인등대 35 개를 비롯하여 5,289 개 등대가 있다 . 세상을 밝히는 불빛 . 그 소통의 미학을 찾아 30 년 동안 우리나라 섬과 등대를 답사한 섬 여행 전문가이자 등대기행 전문가인 ‘박상건 시인의 섬과 등대여행 ’중 가거도 동행 취재 하였다.(편집국장 주윤기자)
 
우리나라 국토의 최동단에는 독도가 있다. 최남단에는 마라도가 있다. 그리고 최서남단에 가거도가 있다.
    
가거도는 ‘가히 살만한 섬’이란 뜻으로 1896년부터 불린 이름이다. 가거도는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딸린 섬으로 가거도의 다른 이름은 소흑산도이다. 현재 흑산도는 대흑산도이다. 가거도 섬 면적은 9.18㎢, 해안선 길이는 22㎞. 중국의 새벽 닭 우는 소리가 들린다는 섬으로 그만큼 국토의 최서남단에 위치한다는 뜻이다.
    
가거도1구 가도도항 맞은편에는 눈길을 끄는 이정표가 세워져 있다. 중국 390km, 서울 420km, 오키나와 355km, 필리핀 2,180km. 중국과의 거리가 서울과 거리보다 가깝다. 여객선이 오고가는 목포와는 145km 떨어져 있다. 가거도는 먼 바다에 속해 항해와 여행 일정에서 날씨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다. 가더라도 거센 파도를 넘어야만 갈 수 있는 섬이다.
    
동지나해 어선들 피항, 신안에서 가장 높은 산 가거도
    
가거도 해역에 풍랑이 일거나 거센 폭풍우가 몰아칠 때면 인근 동지나해에서 고기를 잡던 어선들은 가거도항으로 뱃머리를 돌려 악천후를 피한다. 이 때문에 폭풍이 잦은 겨울철에는 중국 어선들도 많이 볼 수 있고 많은 배들이 폭풍우를 피해 이곳에 몰려올 때에는 파시가 형성되기도 한다. 그래서 가거도는 서남해역의 어업전진기지이자 우리 영해를 수호하는 첨병의 역할을 맡고 있다.     
가거도는 시베리아에서 동남아까지 수천 km를 이동하는 수천만 마리의 철새들이 쉬어가는 기착지 역할을 하는 섬이기도 하다. 가거도 바다는 난류와 한류가 교차해 멸치를 비롯한 조기, 갈치, 다랑어, 돔류 등 어족자원이 풍부하다. 그래서 전국의 낚시꾼들에게는 꼭 가보고 싶은 최고의 섬이다.
 
신안군에서 가장 높은 639m 독실산을 중심으로 서남쪽으로 뻗어있는 가거도는 산세가 높고 섬 전체가 절벽으로 형성되어 웅장하고 기괴한 절경과 함께 남성적인 미를 풍긴가. 길쭉한 해안선과 가파른 해안절벽 위로 늘 구름을 머금고 바다 위에 둥둥 떠 있는 듯한 모습은 신비감 그 자체이다.
    
가거도항에서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 녹섬 돛단바위, 기둥바위, 망부부석, 국흘도, 망향바위, 남문과 해상터널 등 기암괴석들이 감탄을 자아낸다. 섬 안에는 후박나무, 굴거리나무, 천리향이 빽빽이 우거져 있고 후박나무 약재 전국 생산량 70%가 가거도에서 나올 정도로 산에는 후박 숲이 빽빽하다. 이외에도 음양곽, 현삼, 목단피, 갈근 등의 희귀약초가 자생한다. 천연기념물인 흑비둘기, 흰 날개 해오라기, 바다 직박구리 등 희귀조류가 서식하는 자연의 낙원이기도 하다.
 
500여명의 주민들이 사는 가거도는 1구를 대리, 2구를 항리, 3구를 대풍리라고 부른다. 이 3개의 자연부락으로 구성된 가거도는 마을마다 섬기는 수호신이 다르다. 1구 수호신은 스님, 2구는 치자나무, 3구는 쇠붙이로 동네 어민들의 삶과 관련이 깊은 대상들이다. 1구 대리마을에 도착하면 가거도출장소 앞의 “大韓民國 最西南段(대한민국 최서남단)”이라는 표지석이 인상적이다. 2구와 3구 부락에는 낚시인을 위한 전문 숙박시설과 낚시전문 선박이 준비돼 전국에서 찾아오는 강태공들을 맞는다.
 
독실산길-tile.jpg▲ 가거도항에서 등대로 가는 독실산길과 대숲 길(위). 무인도 구굴도와 개린도. 최서남단 표지석(아래)(사진=박상건시인.섬문화연구소장)
 
철새들의 보금자리 구굴도, 멸치잡이 민요소리    
 
가거도 3구에서 4km 떨어져 있는 ‘구굴도 해조류 번식지’는 뿔쇠오리, 바다제비, 슴새 등 철새들의 이동 경로상 기착지이자 철새들 번식지로써 1984년 8월 13일 천연기념물 제341호로 지정됐다. 바다제비는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등지에서 번식하며 자바에서 인도양까지 남하하여 겨울을 보낸다. 슴새는 일본 흣카이도 북부에서 류우큐우 남쪽, 그리고 한국과 중국 해안에서 번식하며 필리핀까지 남하하여 겨울을 보낸다. 뿔쇠오리는 한국과 일본의 난류에 분포한다. 이 해역은 유명한 선상낚시 포인트이기도 하다.
    
가거도 ‘멸치잡이’노래는 지방무형 문화재 제22호로 야간에 멸치잡이를 나갈 때는 파도위에서 횃불을 켜들고 섬 주위를 돌다가 멸치 떼가 발견되면 소리를 지르고 뱃전을 두드리며 갯창으로 몰아 그물을 치고 멸치를 잡았다. 이 과정에서 노를 젓고 그물을 당기는 고된 작업의 피로를 덜어주고 일체감 조성을 위해 불렀던 노래로써 81년 지방무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됐다.
    
‘멸치잡이’는 음력 6월 중순에서 9월 중순까지 한철이다. 어부들은 초저녁에 바다로 나가 다음날 동트기 전까지 작업을 한다. 이 민요는 노를 저을 때 부르는 놋소리, 멸치가 발견되었을 때 횃불을 켜들고 멸치를 모는 멸치 모는 소리, 바다에다 그물을 넣는 그물 넣는 소리, 멸치를 가래로 퍼 올리는 술비소리, 그물을 끌어올리는 그물 올리는 소리, 그물을 올리고 귀향하면서 부르는 빠른 놋 소리, 배가 가득 차 포구로 돌아올 때 부르는 풍장소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호에 계속)
 
<주윤기자 news-9797@daum.net>
<저작권자ⓒ(주)뉴스앤뉴스TV & www.newsnnewstv.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회사소개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정기구독신청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top